Hpt_bookreview_0708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공학과
이름 : 김재현
학번 : 2020214531
이름 : 김재현
학번 : 2020214531
김재현_W47_ Stolovitch, H. D., & Keeps, E. J. (2006). Handbook of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Principles, practices, and potential. John Wiley & Sons.
1. Review book
APA: Stolovitch, H. D., & Keeps, E. J. (2006). Handbook of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Principles, practices, and potential. John Wiley & Sons.
Chapter 7.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Chapter 8. Aligning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Decisions with an Organization’s Strategic Direction
2. Review의 목적
- 이번 리뷰의 목적은 HPT 의 기원, 발전 과정, 그리고 조직의 전략적 방향성과의 연계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HPT가 어떻게 다양한 이론과 실천적 접근을 통합하여 조직의 성과 개선에 기여해왔으며, 전략적 목표와의 정렬을 통해 그 효과를 어떻게 극대화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3. 해당 챕터 학습 후 전체적으로 본인이 학습하게 된 부분
- HPT가 초기의 기계적 결정론에서 시스템 이론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조직을 하나의 복잡한 시스템으로 바라보고, 구성 요소 ��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성과 개선을 도모하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 이 과정에서 [[ 메타컨틴전시 ]] 개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메타컨틴전시 ]]는 문화적 관행과 그 결과 간의 관계를 의미하며,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 즉, 조직 내의 개인 행동뿐만 아니라, 그 행동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집합적 결과와 그것이 조직 외부 환경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HPT는 단순히 개인의 행동 수정이 아닌, 조직 전체의 문화와 시스템 변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과 개선을 추구한다.
- 결론적으로, HPT의 발전은 조직의 성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제공하며, [[ 메타컨틴전시 ]] 개념을 활용하여 조직의 문화적 관행과 그 결과 간의 복잡한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성과 개선을 추구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4. 도식화 및 설명
! [[ Pasted image 20241117194053.png ]]
- 행동주의 심리학은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Thorndike의 효과의 법칙,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를 통해 인간 행동이 환경 자극과 결과에 의해 형성되고 수정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행동 수정의 원리는 [[ 메타컨틴전시 ]]의 문화적 관행과 집합적 행동을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 메타컨틴전시는 개인 행동이 모여 집합적 행동과 조직의 성과를 형성하며, 조직 활동이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 HPT는 행동주의 심리학과 [[ 메타컨틴전시 ]]를 기반으로 조직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해하며, Mega, Macro, Micro 수준에서 전략적 목표를 정렬하여 성과를 개선한다. 이를 통해 개인 행동의 수정에서 집합적 행동과 조직의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하고, 성과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한다.
5 & 6. 연구 문제 설정 및 연구 문제에 대한 답변
연구 문제 1: [[ 메타컨틴전시 ]]와 조직 학습이 조직의 지속 가능한 성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HPT의 시스템 이론적 접근은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 [[ 메타컨틴전시 ]]는 조직 내에서 개인의 행동이 집합적으로 나타나 [[ 조직 문화 ]]와 관행을 형성하고, 이것이 다시 조직의 성과와 사회적 영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한다. [[ 조직 학습 ]]은 이��한 [[ 집합적 행동 ]]과 관행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발전시켜 조직의 [[ 적응력 ]]과 [[ 혁신성 ]]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 HPT의 시스템 이론적 접근은 조직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개인, 팀, 부서, 프로세스 등)이 상호작용하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 메타컨틴전시 ]]를 통해 조직 문화와 관행을 분석하여 조직 학습을 촉진한다.
연구 문제 2: HPT에서의 [[ 메타컨틴전시 ]] 적용이 조직의 변화 관리 프로세스에서 저항을 어떻게 감소시키고, 변화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가?
- 조직 변화 관리 프로세스에서 구성원의 저항은 성공적인 변화 구현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다. [[ 메타컨틴전시 ]]를 HPT에 적용함으로써 조직의 집합적 행동과 문화적 관행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변화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수용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 문화적 관행 조정: 변화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새로운 행동과 관행을 조직 문화에 통합하는 것이다. [[ 메타컨틴전시 ]]는 기존 문화적 관행을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조정하거나 새로운 관행을 도입하여 변화에 대한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
- 참여와 소통 강화: 구성원들이 변화 과정에 참여하고, 변화의 목적과 필요성을 이해하며, 자신의 의견이 반영된다고 느낄 때 저항은 감소한다. [[ 메타컨틴전시 ]]는 집합적 의사 결정과 참여를 촉진하여 구성원들의 변화 수용성을 높인다.
- 강화 메커니즘 설계: 변화된 행동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강화가 필요하다. 행동주의 심리학의 원리에 따라, 원하는 행동에 대한 긍정적 강화와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의 정착을 도모한다.
- 따라서, HPT에서 [[ 메타컨틴전시 ]]를 적용하면 조직 변화 관리 프로세스에서 저항을 감소시키고, 변화에 대한 구성원들의 수용성과 참여를 높일 수 있다. 이는 조직의 변화 노력이 성공적으로 구현되고 지속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전략이다.
This line appears after every 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