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t_bookreview_0304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공학과
이름 : 김재현
학번 : 2020214531

김재현_W45_Stolovitch, H. D., & Keeps, E. J. (2006). Handbook of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Principles, practices, and potential. John Wiley & Sons.


1. Review book

APA: Stolovitch, H. D., & Keeps, E. J. (2006). Handbook of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Principles, practices, and potential. John Wiley & Sons.

Chapter 3. Business Perspectives for Performance Technologists Chapter 4. Performance Improvement | Enabling Commitment to Changing Performance Requirements

2. Review의 목적

3, 4 챕터는 HPT의 이론적 이해를 넘어서, 실제 조직 내에서 어떻게 성과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적용 방안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HPT가 조직 전체의 성과 향상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비즈니스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챕터 3에서 다룬 비즈니스 로직 모델을 통해 조직의 조와 목적을 분석하고, 챕터 4의 성과 요구사항 조정 방법론을 통해 조직 내 비공식적 요구와 공식적 목표를 일치시키는 방안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HPT가 조직 성과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이유와 타당성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3. 해당 챕터 학습 후 전체적으로 본인이 학습하게 된 부분

챕터 3에서는 HPT 전문가가 조직 내에서 실질적인 성과 개선을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할 비즈니스의 중요성과 비즈니스 로직 모델을 소개하고 있다. 조직의 성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비즈니스 환경, 전략, 재무 상태 등을 깊이 이해해 하고, 이를 통해 단순히 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조직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성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비즈니스 로직 모델은 조직을 외부 논리, 경제 논리, 전략 논리, 고객 논리, 제품 논리, 프로세스 논리, 내부 논리로 나누어 분석하데, 이러한 논리들은 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 조직의 문제를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개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외부 논리는 조직 외부의 기회와 위협을 ��별하고, 경제 논리는 조직의 재무 상태와 자원 배분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체계적 분석은 조직의 성과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단순한 교육적 개입이 아닌, 비즈니스 목표와 전략적 연계성을 고려한 개입을 가능하게 한다.

챕터 4에서는 조직 내에서 성과 요구사항을 어떻게 설정하고 조정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며, 이를 통해 성과 향상을 촉진하는데 특히, 역할 세트 이론을 통해 조직 내에서 각 개인이 겪는 비공식적인 요구와 공식적인 성과 요구사항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역할 세트는 각 개인이 상호 의존적인 관계 속에서 다양한 역할 요구를 받는 상황을 의미하며, 이러한 역할 세트 간의 요구가 충돌할 때 성과 개선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은 역할 세트와 공식적 성과 요구사항 간의 정렬을 지속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개인과 조직 모두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챕터 4에서는 사례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 조정 방법을 보여주는데, 인도의 소프트웨어 팀 사례에서는, 월별 회의를 통해 팀원들이 각자의 역할과 목표를 명확히 하고,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성과 목표를 조정하는 과정이 설명되어있다. 이 과정에서 모든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요구사항을 정렬하고, 이를 통해 성과 목표 설정과 피드백 제공이 어떻게 조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조직의 성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비즈니스의 맥락과 조직 내 역할 세트의 요구를 이해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개입을 설계해야 한다는 점을 학습하게 되었다. HPT는 조직 전체의 전략적 목표와 일치된 성과 개선을 도모하는 포괄적인 접근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4. 도식화 및 설명

! [[ Pasted image 20241103185940.png ]]

HPT 접근 방식 중 [[ 비즈니스 로직 모델 ]]을 활용하여 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 성과 개선 방안 ]]을 설계한다. 이는 HPT 전문가가 조직의 성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의 비즈니스 환경을 깊이 이해하고, 주요 요소들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 역할 세트 이론 ]]은 조직 내 개인이 직면하는 다양한 요구와 그로 인한 갈등을 설명한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고 [[ 성과 목표 ]]를 정렬하기 위해, 지속적인 [[ 협력과 피드백 ]]을 강조한���. 이를 통해 조직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조정하고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문의 사례 연구에서는 팀 목표 설정, 성과 목표 조정,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성과 개선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HPT가 어떻게 실제 상황에서 성과 목표 정렬과 개선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이 도식은 HPT가 단순한 훈련 중심의 접근을 넘어서, [[ 비즈니스적 이해와 역할 정렬을 통한 포괄적 성과 개선 ]]을 어떻게 도모하는지에 대한 프로세스이다. 이를 통해 HPT 전문가가 조직 내 다양한 요구사항과 목표를 어떻게 조율하고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5 & 6. 연구 문제 설정 및 연구 문제에 대한 답변

  1. 비즈니스 로직 모델을 활용한 HPT 접근법이 조직의 성과 개선 전략의 수립 및 실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비즈니스 로직 모델은 조직을 외부 환경, 경제 상황, 전략, 고객, 제품, 프로세스, 내부 구조 등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이러한 모델을 활용하면 조직의 성과 문제를 다각도로 진단하고,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개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 시스템 이론에 따르면 조직은 상호 연결된 요소들로 구성된 복잡한 시스템이며, 한 요소의 변화는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비즈니스 로직 모델은 이러한 시스템적 관점을 반영하여 조직의 내부와 외부 환경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는 성과 격차의 근본 원인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하고, 체계적인 개입을 설계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비즈니스 로직 모델을 활용한 HPT 접근법이 조직의 성과 개선 전략의 수립과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조직 성과 향상을 위한 이론적 이해를 심화하고 실무적 적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2. 역할 세트 이론에 기반한 HPT 개입이 개인의 역할 갈등 감소와 성과 향상에 어떻게 기여하며, 이는 조직 전체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역할 세트 이론은 개인이 조직 내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터 여러 역할 기대를 받으며, 이러한 기대 간의 불일치가 역할 갈등을 초래하고 성과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조한다. 역할 갈등은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을 높이고 직무 만족도를 낮추며, 결과적으로 업무 성과를 저하시킨다. 이러한 ���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할 명확화와 기대 조정이 필요하다.
    • HPT 접근법은 이러한 역할 갈등을 식별하고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개입을 제공하는데, 역할 명확화, 의사소통 강화, 피드백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개인의 역할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조직 행동 이론에서 말하는 개인의 동기 부여와 업무 효율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명확한 기대와 피드백은 개인의 성과 향상에 도움이 되며, 이는 개인의 역량 발휘와 업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This line appears after every note.

Notes mentioning this note


Here are all the notes in this garden, along with their links, visualized as a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