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t_bookreview_0102
이름 : 김재현
학번 : 2020214531
김재현_W43_Stolovitch, H. D., & Keeps, E. J. (2006). Handbook of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Principles, practices, and potential. John Wiley & Sons.
1. Review book
APA: Stolovitch, H. D., & Keeps, E. J. (2006). Handbook of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Principles, practices, and potential. John Wiley & Sons.
Chapter 1.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Fundamentals Chapter 2. The Performance Architect’s Essential Guide to the Perfoemance Technology Landscape
2. Review의 목적
- HPT는 조직 내에서 인간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다루고 있다. 이는 교육 및 훈련뿐만 아니라 환경, 동기, 프로세스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
- HRD와의 관련성은 성과 향상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겹치지만, HRD는 개인의 학습과 개발에 더 초점을 맞추는 반면, HPT는 성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 포괄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 조직 내 개인의 성과개선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법과 조직 내 성과 문제(저성과자 , 생산성 등) 해결 방법론에 대한 관심과 성인학습, Workplace learning과 연계하여 학습하고자 HPT책을 선정하게 됨.
3. 해당 챕터 학습 후 전체적으로 본인이 학습하게 된 부분
챕터 1과 2를 통해 HPT의 기본 개념과 역사적 발전 과정을 이해하게 되었다. 초기 HPT는 스키너의 행동주의 심리학에 기반하여 교육과 훈련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훈련만으로는 조직의 성과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전반의 성과 개선을 위한 다각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HPT가 성과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취한다는 점, 이는 단순히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성과 분석부터 원인 분석, 해결책 설계 및 평가에 이르는 전체 프로세스를 강조한다. 이러한 접근은 조직의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사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HPT는 개인의 학습과 개발을 넘어 조직 전체의 시스템을 고려해야 효과적인 성과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시스템 사고를 통해 구조, 동기, 환경, 학습 등 다양한 요소들을 조율하여 성과 문제의 근원을 다양한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다. 이는 관심을 갖고 있는 성인 학습과 워크플레이스 러닝 분야에서 성과 중심의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설계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4. 도식화 및 설명
! [[ Pasted image 20241020175600.png ]]
이 도식은 [[ 행동주의 심리학|스키너의 행동주의 심리학 ]]이 [[ 훈련 중심 접근 ]]의 기반이 되었지만, [[ 내재적 동기 ]] 부족과 [[ 환경 요인 ]] 미고려 등의 한계로 인해 HPT가 발전하게 된 과정에 대해 구성하고, 스키너의 이론은 행동 수정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조직의 복잡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HPT는 [[ 포괄적이고 시스템적인 접근 ]]을 도입했지만, [[ 표준화된 절차 ]]가 [[ 성인 학습자 ]]의 [[ 개별적 경험과 요구 ]]를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개별적 경험을 HPT와 통합하기 위해 [[ 학습자 참여 설계 ]], [[ 혼합형 학습 접근 ]], [[ 피드백 메커니즘 강화 ]] 등의 [[ 통합 전략 ]]을 구성해 보았다.
5 & 6. 연구 문제 설정 및 연구 문제에 대한 답변
- HPT의 시스템적 접근이 조직의 성과 개선과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개별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 HPT의 시스템적 접근은 조직의 성과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성과 지표(KPI), ROI 분석, 질적 평가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 이론에 기반하여 조직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과정에서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활용하기 위해 학습자가 목표 설정과 학습 과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장려하며, 이는 Knowles의 안드라고지 이론에서 강조하는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조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조직 성과 개선을 위한 HPT의 표준화된 절차가 다양한 업무 환경과 직무 특성에 따라 어떻게 조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정이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HPT의 표준화된 절차는 다양한 업무 환경과 직무 특성에 따라 조정되어야 하며 조직의 문화, 기술 수준, 직무 복잡성을 고려한 맞춤형 HPT 적용은 직원들의 참여도와 효율성을 높여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조직이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며, 시스템 이론에서 강조하는 조직의 적응성과 일치하여 성과 개선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This line appears after every note.